'13월의 월급'이라는 연말정산은 연초부터 부지런치 챙겨야지 받을 수 있는 보너스입니다.
미리미리 신경써서 챙기지 않으면 세금을 토해내는 불상사가 생기기 마련입니다.
올 연말정산은 연초부터 준비하셔서 세금 폭탄 받지마시고 '13월의 월급' 꼭 챙겨서 받으세요.
▣주택청약 / 연 240만원까지 40% 공제
-총급여 7,000만원 이하/무주택 세대주-연 240만원 한도 납입 금액의 40% 세액공제
▷예시)국민주택(전용 85㎡ 이하 공공분양) 청약통장 최대 인정금액(월 10만원)납입-120만원에 40%인 48만원 공제
▣연금저축 / 연 400만원까지 16.5% or 13.2%
총급여 | 납입금액 한도 | 공제율 | 환급액 |
5,500만원 이하 | 400만원 | 16.5% | 660,000원 |
5,500초과~1억2000만원이하 | 400만원 | 13.2% | 528,000원 |
1억2000만원 초과 | 300만원 | 13.2% | 396,000원 |
▷연금저축 종류 : 연금저축펀드, 연금저축보험, 연금저축신탁(2018년 판매중지)
▣IRP(개인형퇴직연금) 추가 300만원 / 16.5% or 13.2%
-확정기여(DC)형-회사가 1년마다 한 달치 급여를 퇴직 계좌에 입금해주면 근로자가 직접 자신의 퇴직급여를 운용
-확정급여(DB)형 퇴직연금-회사가 적립금을 운용
-세액공제 혜택을 위해 개인이 직접 가입하는 상품
-최대 700만원가지 세액공제(연금저축+IRP 납입액 합산금액)
▷연금저축을 400만원 들었다면 IRP는 300만원 추가 공제
-총급여 5,500만원 이하 / 16.5%
-총급여 5,500만원 초과 / 13.2%
총급여 | 납입금액 한도 | 공제율 | 환급액 |
5,500만원 이하 | 700만원 | 16.5% | 최대 1,155,000원 |
5,500만원 초과 | 700만원 | 13.2% | 최대 924,000원 |
☆결혼자금이나 내집마련 자금처럼 목돈이 필요한 사람들은 피해야하는 상품입니다.
-연금저축은 중도인출할 경우 세액공제를 받았던 적립금과 운용수익에 대해 기타소득세 16.5%가 부과
이상 3가지 상품은 저축을 하면서 공제까지 받을 수있는 상품으로 잘 활용하셔서 꼭 '13월의 월급' 꼭 챙기세요.

'시사 > 경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ETF 커버드콜(Covered Call) 이란?(배당금으로 돈벌기) (0) | 2025.02.26 |
---|---|
ISA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란? (0) | 2025.02.24 |
개인형 퇴직연금(IRP, Individual Retirement Pension)란? (0) | 2025.02.24 |
3월 아파트 청약 일정(03.01~03.11까지) (1) | 2022.02.28 |
3월 공모주 청약 일정 미리미리 체크하세요 (1) | 2022.02.27 |
댓글